https://www.acmicpc.net/problem/14499
14499번: 주사위 굴리기
첫째 줄에 지도의 세로 크기 N, 가로 크기 M (1 ≤ N, M ≤ 20),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 x, y(0 ≤ x ≤ N-1, 0 ≤ y ≤ M-1), 그리고 명령의 개수 K (1 ≤ K ≤ 1,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
www.acmicpc.net
문제
크기가 N×M인 지도가 존재한다. 지도의 오른쪽은 동쪽, 위쪽은 북쪽이다. 이 지도의 위에 주사위가 하나 놓여져 있으며, 주사위의 전개도는 아래와 같다. 지도의 좌표는 (r, c)로 나타내며, r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주사위는 지도 위에 윗 면이 1이고, 동쪽을 바라보는 방향이 3인 상태로 놓여져 있으며, 놓여져 있는 곳의 좌표는 (x, y) 이다. 가장 처음에 주사위에는 모든 면에 0이 적혀져 있다.
지도의 각 칸에는 정수가 하나씩 쓰여져 있다. 주사위를 굴렸을 때, 이동한 칸에 쓰여 있는 수가 0이면, 주사위의 바닥면에 쓰여 있는 수가 칸에 복사된다. 0이 아닌 경우에는 칸에 쓰여 있는 수가 주사위의 바닥면으로 복사되며, 칸에 쓰여 있는 수는 0이 된다.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와 이동시키는 명령이 주어졌을 때, 주사위가 이동했을 때 마다 상단에 쓰여 있는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주사위는 지도의 바깥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만약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해야 하며, 출력도 하면 안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지도의 세로 크기 N, 가로 크기 M (1 ≤ N, M ≤ 20),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 x, y(0 ≤ x ≤ N-1, 0 ≤ y ≤ M-1), 그리고 명령의 개수 K (1 ≤ K ≤ 1,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도에 쓰여 있는 수가 북쪽부터 남쪽으로, 각 줄은 서쪽부터 동쪽 순서대로 주어진다. 주사위를 놓은 칸에 쓰여 있는 수는 항상 0이다. 지도의 각 칸에 쓰여 있는 수는 10 미만의 자연수 또는 0이다.
마지막 줄에는 이동하는 명령이 순서대로 주어진다. 동쪽은 1, 서쪽은 2, 북쪽은 3, 남쪽은 4로 주어진다.
출력
이동할 때마다 주사위의 윗 면에 쓰여 있는 수를 출력한다. 만약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해야 하며, 출력도 하면 안 된다.
풀이
문제를 읽고 약간 당황했지만 일단 전개도를 보고 주사위를 그려봤다. 주사위는 4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각 면에 있는 숫자들이 이동하는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이 위치가 바뀌는 모습에 주목해 보기로 했다.
예를 들어 전개도가 그려진 주사위를 서쪽(좌측)으로 한번 굴리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주사위 각 면에 쓰여진 숫자 [1, 2, 3, 4, 5, 6]는 서쪽(좌측)으로 한번 굴렸을때 [3, 2, 6, 1, 5, 4]와 같이 변했다.
주사위가 구르는 행위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방향이 4개 밖에 안되니까, 각 방향으로 굴릴 때마다 위치 변화를 저장했다.
문제에서 수행해야할 것은 다음과 같다.
1. 방향에 따른 주사위 굴리기
2. 주사위 바닥면 확인 및 복사
3. 주사위 상단 프린트
사실, 주사위 면의 숫자 위치 변경아이디어만 생각하면 굉장히 간단한 문제다. 그 아이디어가 좀처럼 떠오르지 않아서 문제지만! ㅎㅎ
코드
n, m, x, y, k = map(int, input().split())
dice_map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direction = list(map(int, input().split()))
# 위, ----, 바닥
dice = [0, 0, 0, 0, 0, 0]
right = [3, 1, 0, 5, 4, 2]
left = [2, 1, 5, 0, 4, 3]
up = [4, 0, 2, 3, 5, 1]
down = [1, 5, 2, 3, 0, 4]
# 허수, 우, 좌, 상, 하
dx = [0, 0, 0, -1, 1]
dy = [0, 1, -1, 0, 0]
move = {1: right, 2: left, 3: up, 4: down }
# 주사위를 굴리는 함수
def swap(dice, d):
new_dice = [i for i in dice]
for i in range(6):
new_dice[i] = dice[move[d][i]]
return new_dice
for d in direction:
nx = x + dx[d]
ny = y + dy[d]
if not 0<= nx < n or not 0<= ny < m:
continue
dice = swap(dice, d)
# 칸에 값이 있으면 주사위의 바닥면을 변경
if dice_map[nx][ny] :
dice[5] = dice_map[nx][ny]
dice_map[nx][ny] = 0
# 칸에 값이 없으면 주사위의 바닥면으로 변경
else:
dice_map[nx][ny] = dice[5]
x, y = nx, ny
print(dice[0])
'프로그래밍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1609번 / 상어 중학교 / 파이썬(Python) (0) | 2023.10.25 |
---|---|
[백준] 14503번 / 로봇청소기 / Python(파이썬) (0) | 2023.10.25 |
[프로그래머스] 디스크 컨트롤러 / 힙(heap) / python (0) | 2023.06.27 |
[프로그래머스] 더 맵게 / Python / 힙(heap) (0) | 2023.06.22 |
[프로그래머스] 조이스틱 / Python (0) | 2023.05.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