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20056
20056번: 마법사 상어와 파이어볼
첫째 줄에 N, M, K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파이어볼의 정보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파이어볼의 정보는 다섯 정수 ri, ci, mi, si, di로 이루어져 있다. 서로 다른 두 파이어볼의 위치
www.acmicpc.net
문제
어른상어가 마법사가 되었고, 파이어볼을 배웠다.
마법사 상어가 크기가 N×N인 격자에 파이어볼 M개를 발사했다. 가장 처음에 파이어볼은 각자 위치에서 이동을 대기하고 있다. i번 파이어볼의 위치는 (ri, ci), 질량은 mi이고, 방향은 di, 속력은 si이다. 위치 (r, c)는 r행 c열을 의미한다.
격자의 행과 열은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고, 1번 행은 N번과 연결되어 있고, 1번 열은 N번 열과 연결되어 있다.
파이어볼의 방향은 어떤 칸과 인접한 8개의 칸의 방향을 의미하며, 정수로는 다음과 같다.
7 | 0 | 1 |
6 | 2 | |
5 | 4 | 3 |
마법사 상어가 모든 파이어볼에게 이동을 명령하면 다음이 일들이 일어난다.
- 모든 파이어볼이 자신의 방향 di로 속력 si칸 만큼 이동한다.
- 이동하는 중에는 같은 칸에 여러 개의 파이어볼이 있을 수도 있다.
- 이동이 모두 끝난 뒤, 2개 이상의 파이어볼이 있는 칸에서는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난다.
- 같은 칸에 있는 파이어볼은 모두 하나로 합쳐진다.
- 파이어볼은 4개의 파이어볼로 나누어진다.
- 나누어진 파이어볼의 질량, 속력, 방향은 다음과 같다.
- 질량은 ⌊(합쳐진 파이어볼 질량의 합)/5⌋이다.
- 속력은 ⌊(합쳐진 파이어볼 속력의 합)/(합쳐진 파이어볼의 개수)⌋이다.
- 합쳐지는 파이어볼의 방향이 모두 홀수이거나 모두 짝수이면, 방향은 0, 2, 4, 6이 되고, 그렇지 않으면 1, 3, 5, 7이 된다.
- 질량이 0인 파이어볼은 소멸되어 없어진다.
마법사 상어가 이동을 K번 명령한 후, 남아있는 파이어볼 질량의 합을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N, M, K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파이어볼의 정보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파이어볼의 정보는 다섯 정수 ri, ci, mi, si, di로 이루어져 있다.
서로 다른 두 파이어볼의 위치가 같은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는다.
출력
마법사 상어가 이동을 K번 명령한 후, 남아있는 파이어볼 질량의 합을 출력한다.
제한
- 4 ≤ N ≤ 50
- 0 ≤ M ≤ N2
- 1 ≤ K ≤ 1,000
- 1 ≤ ri, ci ≤ N
- 1 ≤ mi ≤ 1,000
- 1 ≤ si ≤ 1,000
- 0 ≤ di ≤ 7
풀이
삼성 sw역량테스트를 준비하다 보면 많이 만나게 되는 상어 어쩌구 문제다. 삼성 기출문제를 많이 풀다보니 시뮬레이션 문제가 굉장히 많은 것 같다. 처음엔 너무 어려워서 머리 아팠는데 역시 반복이 중요.. 반복하다 보면 어느새 익숙하게 문제에 접근 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격자의 바깥이 아닌 원통처럼 연결된 구조 라는 것이다. 다른 문제 에서는 격자를 벗어난 경우를 제외 시켰다면 격자의 위치를 잘 조정해서 문제를 해결해야한다.
파이어볼 이동
- 파이어볼의 방향, 속력을 고려해 이동 처리
- 파이어볼이 이동 할 때 격자 바깥으로 나가지 않게 %N을 이용
# 파이어볼 이동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 m, s, d
if game_map[i][j] != []:
for m, s, d in game_map[i][j]:
r = (i + s * dx[d]) % N
c = (j + s * dy[d]) % N
board[r][c].append([m, s, d])
파이어볼이 2개 이상인 칸
- 파이어볼이 2개 이상인 칸을 조사
- 질량의 합이 0인 경우 파이어볼 초기화
- 홀/짝인 경우와 그 외 경우로 나눠 이동시킴
# 파이어볼 2개 이상인 칸 처리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len(board[i][j]) >= 2:
mass, speed, odd, even = 0, 0, 0, 0
for m, s, d in board[i][j]:
mass += m
speed += s
if d % 2 == 0:
even += 1
else:
odd += 1
mass = mass//5
if mass == 0:
board[i][j] = []
continue
speed = speed//len(board[i][j])
# 모든 파이어볼의 방향이 홀/짝인 경우
if (odd == 0 and even != 0) or (odd != 0 and even == 0):
board[i][j] = []
for d in [0, 2, 4, 6]:
board[i][j].append([mass, speed, d])
else:
board[i][j] = []
for d in [1, 3, 5, 7]:
board[i][j].append([mass, speed, d])
코드
N, M, K = map(int, input().split())
# r, c, m, s, d
fireball_info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M)]
game_map = [[[] for _ in range(N)] for _ in range(N)]
for i, j, m, s, d in fireball_info:
game_map[i-1][j-1].append([m, s, d])
dx = [-1, -1, 0, 1, 1, 1, 0, -1]
dy = [0, 1, 1, 1, 0, -1, -1, -1]
for _ in range(K):
board = [[[] for _ in range(N)] for _ in range(N)]
# 파이어볼 이동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 m, s, d
if game_map[i][j] != []:
for m, s, d in game_map[i][j]:
r = (i + s * dx[d]) % N
c = (j + s * dy[d]) % N
board[r][c].append([m, s, d])
# 파이어볼 2개 이상인 칸 처리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len(board[i][j]) >= 2:
mass, speed, odd, even = 0, 0, 0, 0
for m, s, d in board[i][j]:
mass += m
speed += s
if d % 2 == 0:
even += 1
else:
odd += 1
mass = mass//5
if mass == 0:
board[i][j] = []
continue
speed = speed//len(board[i][j])
# 모든 파이어볼의 방향이 홀/짝인 경우
if (odd == 0 and even != 0) or (odd != 0 and even == 0):
board[i][j] = []
for d in [0, 2, 4, 6]:
board[i][j].append([mass, speed, d])
else:
board[i][j] = []
for d in [1, 3, 5, 7]:
board[i][j].append([mass, speed, d])
game_map = [ ll[:] for ll in board]
result = 0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game_map[i][j] != []:
for m, _, _ in game_map[i][j]:
result += m
print(result)
'프로그래밍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0058번 / 마법사 상어와 파이어스톰 / 파이썬(Python) (0) | 2023.10.26 |
---|---|
[백준] 20057번 / 마법사 상어와 토네이도 / 파이썬(Python) (0) | 2023.10.26 |
[백준] 17142번 / 연구소 3 / 파이썬(Python) (0) | 2023.10.26 |
[백준] 15686번 / 치킨 배달 / 파이썬(Python) (0) | 2023.10.26 |
[백준] 21609번 / 상어 중학교 / 파이썬(Python) (0) | 2023.10.25 |
댓글